본문 바로가기

일상/여행

2023향토문화 탐방 걸어서 남원 속으로 월산리·청계리·두락리·유곡리 고분, 실상사 탐방

반응형

 

남원교육문화회관에서 운영하는 2023향토문화 탐방을 다녀왔습니다.

처음 진행되는 행사인데요.

남원의 역사를 지역 주민들에게 소개할 수 있도록 꾸며진 행사인데요.

9시까지 오라고 했는데 한 5분 늦었는데, 제가 꼴찌로 도착했네요.

간식과 물을 챙겨 주셨는데요.

남원교육문화회관 교육 관련 부서에 있는 담당자님이 이렇게 예쁘게 만들어 주셨네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제일 먼저 도착한 곳은 월산리·청계리·두락리·유곡리 고분입니다.

도착하니 해설사님이 저희들을 맞아 주셨습니다.

고분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갖고 고분 이야기를 해주셨는데요.

새롭게 가야 문화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유곡리·두락리 고분은 가야 시대에 만들어졌다고 하는데요.

처음 고분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 수 있어서 참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00:18
대표

동영상 설명을 입력하세요.

고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는데요.

새로운 지식을 쌓게 되었습니다.

유익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 외에도 다양한 유물들이 소개해 주셨는데요.

전주 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고 해요.

그래도 사진을 통해 소개해 주셔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현재 발굴하고 있는 고분들이 있네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것은 작년에 고분 발굴하다가 예산이 부족해서 멈췄다가 다음 회기에 예산이 확보되면 발굴 작업이 진행된다고 하네요.

포장이 되어 있고 접근할 수 없게 울타리가 쳐져 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곳에는 참 많은 고분이 있는데요.

아주 오래전에는 고분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그냥 산으로 생각했다고 해요.

그래서 나무도 심어져 있고, 밭농사를 짓기도 했다고 해요.

그렇지만 고분을 중심으로 지리산 자락이 펼쳐져 있어서 경치는 참 좋더라고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보이는 곳도 고분이라고 해요.

그렇게 고분에 나무가 심어져 있는데요.

고분인 줄 몰라서 이렇게 오랜 시간을 유지시킬 수 있었다고 해요.

그리고 몇 개의 고분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해서 다음 세대에 넘겨준다고 하네요.

고분하나 발굴하는 데도 무척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또 다른 과학적인 기술들이 접목되면 더욱더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어 지금 열어 확인하는 것보다 후대에 남겨두면 그때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고 판단했다고 하는데요.

 

올해에 유네스코 지정이 되면 남원의 위상도 좀 더 커지겠죠.

남원유곡리와두락리고분군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성내길 23

다음으로 흥부마을로 갔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흥부마을에 도착하니 보리수가 탐스럽게 열매를 맺고 있네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리고 흥부가 마셨다고 하는 샘물에서 물이 졸졸 내려오는데요.

깊은 샘이라 물맛이 참 좋아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흥부전은 판소리 다섯 마당의 하나인 흥부전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요.

작사,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인데요.

주제는 형제간의 우애로 보기도 하지만, 조선 후기의 물질 위주의 가치관에 대한 풍자로 모든 사회 계층이 서로 돕고 더불어 살아야만 행복하다는 메시지를 주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요즘도 무척 각박한데요.

새로운 新 흥부이야기가 세상 곳곳에서 많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길을 가다 보니 아막성 표지가 나오는데요.

다음에는 아막성으로 가봐야겠네요.

대표사진 삭제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멀리 흥부의 집이 보이는데요.

세칸 집으로 소박하게 살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표이미지 삭제
대표이미지 삭제
대표이미지 삭제
대표이미지 삭제
이전 이미지다음 이미지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흥부마을에서 내려와서는 지역에 있는 한식뷔페 식당에 다녀왔습니다.

흥부마을생거지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 흥부로 275

지역마다 한식뷔페가 있는데요.

보통 8천 원 합니다.

외부인들을 상대로 장사하기보다는 지역에 있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곳이 많더라고요.

아무래도 농번기에는 일손이 부족해서 식사를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한식뷔페 집에 가서 식사를 하는데요.

여행하시다가 한, 두 번 방문해서 드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 이상 가시는 것을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식당 앞에 있는 꽃인데요.

손님들을 위해 심어 놓으신 것 같아요.

아무래도 꽃을 보면 마음이 행복해지기 때문에 사진을 찍지 않을 수가 없네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남원에서 가장 큰 절이기 때문에 찾아오시는 분들이 많은 곳이고요.

실상사를 중심으로 공동체 활동을 많이 하는 곳이라 지역민들과의 교류가 많은 곳입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실상사(實相寺)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조계종 제17교구 금산사의 말사이다.

행정구역 상으로는 남원시에 속해 있으나 실제로는 경상남도 함양군과도 가까운 지역에 위치해 있다. 한국의 사찰이 대부분 산 속에 지어진데 반하여 남원시 산내면의 들판 가운데 자리 잡은 것이 특이하다. 지리산에서 흘러나오는 만 수천을 끼고 있다.

신라 흥덕왕 3년(828년) 때 증각 대사 홍척(洪陟)이 당나라에 유학했다가 귀국해서 세운 절이라고 전해진다. 흥덕왕이 태자와 함께 이 절에 귀의할 정도로 왕실의 관심을 받은 절이라 이후 선종이 크게 일어나 실상학파를 이룰 정도가 되었다. 신라 말 구산선문(九山禪問) 가운데 가장 먼저 세워진 선종의 대표 사찰이다.

그러나 실상사는 조선 시대에 들어 차츰 쇠퇴하기 시작했다. 조선 초기 또는 중기의 어느 시점에 화재로 전소되어 사찰의 문을 닫았다가, 숙종과 순조, 고종 때 세 차례 걸쳐 중건해 다시 세워졌다. 다만 거대한 규모였던 예전의 모습을 다 찾지는 못했다.

한국 전쟁 중에는 지리산을 무대로 한 빨치산과 토벌군의 전투로 수난을 겪었으나 사찰과 문화재에 피해를 입지는 않았다. 실상사가 조선 시대에 전소된 것은 정유재란 때 일본군에 의한 것이라는 전설이 있는 등 왜구와 얽힌 설화가 많이 전해진다. "일본이 흥하면 실상사가 망하고 일본이 망하면 실상사가 흥한다"라는 구전도 있다.

부속 암자로 백장암과 서진아, 약수암이 있다.

위키백과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고즈넉한 사찰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봤는데요.

이곳의 특징 중에 하나가 보물이 많은 곳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주지 스님과의 이야기가 있는데요.

불교에 대해서 잠깐이지만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남원실상사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늘 무엇인가를 배우는 것이 하루를 더 새롭게 하는데요.

오늘도 남원교육문화회관 도움으로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남원교육문화회관

전라북도 남원시 용성로 49 남원교육문화회관

#남원교육문화회관 #실상사 #남원유곡리와두락리고분군 #흥부마을 #남원여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