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수업 가이드북 요즘 교사를 위한 AI 디지털 수업 설계 가이드 with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업을 준비할 때 인공지능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 수업 가이드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책은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지침으로 김진관, 김상섭, 이대형, 이상선, 윤신영 선생님의 공저로 만들어진 책입니다.



trpd.me/AIBOOK
저자들이 운영하는 웹 사이트 디지털 수업-평가 설계와 사회정서학습을 지원하는 모임이 있는데요.
교사들이 체계적으로 수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이트라고 하니 학교 선생님들은 참조하시면 좋겠네요.
위 사진에도 사이트 주소(trpd.me/AIBOOK) 올려놓았어요.

그 외에 책을 활용할 때 참고할 사이트가 많이 올려져 있습니다.

책은 4개의 파트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요.
Part 01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 미래형 교육과정 이해하기
Part 02 디지털 기반 아날로그 수업 이해하기
Part 03 AI 디지털 기반 수업 설계, 평가-기록 살펴보기
Part 04 AI를 활용한 수업-평가 도구 개발
파트 제목처럼 디지털 기반 수업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에 초점이 맞춰진 책입니다.

2022년 개정된 교육과정은 지식 전달을 넘어 깊이 있는 학습으로의 대전환이 중요한 포인트인데요.
학생들 스스로 질문하고 탐구하며, 깊이 있는 학습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 됩니다.
이런 교육의 전환점에 교사는 수업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어떻게 보면 좀 막연한 이야기처럼 보이네요.
그래서 저자 선생님들이 이 책을 만드셨다고 해요.
그리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큰 변화들이 있는데요.
책에서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요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데요.
기존의 교육은 교사 한 명이 학생 다수를 가르쳤는데요.
디지털 교과서를 통해 교사는 학생 한 명, 한 명의 데이터 기반 지도가 가능해져 각자의 맞춤 학습으로 진행되도록 만들어진다고 해요. 이렇게 되면 진도를 각각의 학생별로 진행할 수 있고 상담을 통해 적성 파악이 가능해 효율적인 학사관리가 가능해집니다.

그렇지만 수업이 디지털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라 디지털 기반 환경에서 아날로그 수업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이해가 필요하죠. 그래서 파트 2에서는 아날로그 수업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디지털 기반 아날로그 수업은 중요한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학습 목표 명확화
평가 계획 수립
본질적인 수업 활동 구상
디지털 기반 아날로그 수업 활동 설계
디지털 기반 아날로그 수업 타당도 평가
이런 구조에서 수업을 진행하게 되는데요.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학습 경험 설계 프레임 워크는
초대
탐구
일반화
맥락 적용 차시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평가-기록도 중요하기 때문에 실제 수업에서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소개하는데요.

수학, 국어, 과학, 사회, 등 디지털 도구를 가지고 수업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나눠서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파트 4에서는 평가 도구에 대한 개발 부분인데요.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하여 평가 도구를 만드는 방법을 예를 통해 설명해 줍니다.

요즘은 코딩도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쉽게 만드는데요.
책에서 설명해 주는 데로 따라 만들어 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