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인프라가 궁금하다면,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강추
길벗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출판사에서 이번개 개정 2판으로 새롭게 출간한 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IT 관련 인프라에 관심있는 독자에게 추천하는 책인데요.
10년 전에 발간할 때도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책인데, 이번에 개정해서 새롭게 출간된 책입니다.

IT 인프라는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의 줄임말로, 정보기술을 운영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산실에서 서버를 관리하는 분들을 엔지니어라고 부르는데요.
이런 형태의 업무를 하시는 분들에게 필요한 책입니다.

인프라 엔지니어는 어떤 일을 하는지 소개합니다.

인프라 설계, 인프라 구축, 인프라 운영 이렇게 3단계로 나뉘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를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정하고 운영하게 됩니다.

그리고 운영을 어느 정도의 규모로 하느냐에 따라 준비해야 할 부분이 달라집니다.
이를 퍼실리티라고 하는데요.
건물, 시설, 설비 등을 의미합니다.

우수한 인프라 엔지니어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기술적으로 적절한 답을 찾아 낼 수 있는 사람입니다.
뿐만 아니라 필요한 장비의 선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죠.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작업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최소의 비용으로 최선의 효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 인프라 엔지니어의 역할이기도 하죠.


그래서 인프라 엔지니어는 이쪽 분야에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이 책에서는 인프라 엔지니어를 꿈꾸는 분들에게 인프라 엔지니어가 어떤 일을 하고 기본적인 일에 대해 소개해줍니다.

동시 멀티스데링은 하나의 물리 코어를 OS에서 논리적으로 여러 개(대부분 2개)의 코어로 보이게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인텔에서는 하이퍼스레딩 (Hyper-Threading)이라고 부르고, AMD에서는 SMT라고 부르는 기술인데요.
예를 들면, 4코어 CPU인데, 운영체제에서 8개의 논리 코어(스레드)로 인식하는 기술입니다.

하드웨어 인프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어서 하드웨어에 약한 분들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3장부터는 OS를 시작으로 소프트웨어 인프라에 대해 소개하는데요.





서버 관련 정보가 아주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어 개념을 정리하기 좋습니다.
1. 인프라 엔지니어의 역할과 업무 흐름
인프라 설계 → 요구사항 분석 → 구축 → 운영의 전체 과정을 전반적으로 안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퍼실리티 등 구성 요소별 기본 이해 제공
2. 서버, OS, 네트워크, 스토리지, 가상화, 클라우드 IaaS 등 핵심 영역 소개
서버 종류 및 사양 선정 기준, 메모리·디스크·RAID 구성, 운영체제 선택 포인트
VMware, Hyper‑V, KVM 같은 가상화 환경, AWS 등 클라우드 기반 특징 설명
3. 인프라 설계: 요구사항 분석 중심
가용성, 성능/확장성, 운용성, 마이그레이션, 보안, 그린 IT 등 비기능 요구사항 분석 기준 제시
요구사항 기반 설계를 3계층 시스템 예시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
4. 장애 대응과 운영 체계
장애 대응 절차, 병목 해소 전략, 백업·모니터링 체계 설계 방법 강조
MSP 업체 선택, 펌웨어·자산관리 가이드라인 포함
5. 대규모 인프라 확장 전략
CDN, DSR 구성, LINE의 사례 기반 대규모 트래픽 대응 노하우 공유
성장 단계별 확장 모델과 리소스 부족 시 대응 방법 소개
6. 인프라 엔지니어의 성장 방향
문서 읽기 능력, 카탈로그 분석력, 기술적 호기심 중요성 강조
소규모 vs 대규모 인프라 차이 이해 및 팀 빌딩/육성 전략 제안